“이 제품, 잘 나가나요?”
감으로 판단하던 시대는 끝났습니다. 이제는 KPI가 기획의 기준이자 실행의 출발점입니다.
로레알은 어떻게 수치로 글로벌 시장을 장악했을까요? 소규모 브랜드는 어떤 KPI를 설정해야 할까요?
이 글에서는 로레알의 KPI 전략과 스타벅스 CRM 사례를 바탕으로 실행 가능한 기획 인사이트를 정리합니다.
📚 목차
1. 로레알의 KPI 전략 분석2. CRM 벤치마크: 스타벅스의 고객 전략
3. 소규모 뷰티 브랜드 KPI 설계법
4. 2025년 뷰티 KPI 트렌드
5. 실전 KPI 설정법: SMART 원칙
6. 기획자를 위한 마무리 제안
1. 로레알의 KPI 전략 분석
로레알은 KPI를 전략 실행의 중심에 두고, 제품, 디지털, 고객 경험, 지속가능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
단순 매출이나 점유율을 넘어서, 다음과 같은 전략적 KPI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 📊 매출 KPI: 총매출, 지역별 성장률, 제품군별 실적
- 🛒 디지털 KPI: 이커머스 매출, 디지털 전환률, 소셜 미디어 도달률
- 💡 브랜드 KPI: 브랜드 인지도, 고객 충성도, 리콜률
- 🌱 ESG KPI: 탄소 배출 감소율, 친환경 포장 도입률
2024년 기준 주요 KPI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총 매출: €43.48억 (전년 대비 +5.6%)
- 이커머스 매출: €12.3억 (전체의 28.2%, 전년 대비 +7.8%)
- 미국 시장 브랜드 인지도: 88%
- 지속 가능성 목표: 2025년까지 탄소 배출 ‘0’ 달성, 유럽 전역 100% 재생 에너지 전환 완료
특히 로레알은 Google Shopping 데이터 최적화를 통해 KPI 기반의 상품 노출 전략을 실행했고, 이에 따라 특정 카테고리에서 판매량이 80% 이상 증가하는 성과를 올렸습니다.
KPI는 단순한 '보고용 수치'가 아니라, 디지털 마케팅과 실시간 의사결정, 브랜드 전략의 중심 도구입니다. 로레알은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가능성과 혁신을 동시에 실현하고 있습니다.
2. CRM 벤치마크: 스타벅스의 고객 전략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은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계를 구축하고, 재방문·재구매를 유도하는 전략입니다. 단순 고객 관리가 아닌, 충성도와 생애가치(LTV)를 높이는 수치 기반 운영이 핵심입니다.
스타벅스는 뷰티 브랜드는 아니지만, CRM 중심 KPI 운영에서 매우 효과적인 벤치마크 사례입니다. 특히 고객 충성도와 재방문을 유도하는 보상 프로그램의 설계와 지표 관리는, 뷰티 서비스 업종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스타벅스의 주요 CRM KPI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보상 프로그램 기여 매출 비율: 전체 매출의 약 50% 이상
- 전환 수 (보상 사용 횟수): 누적 1억 7,500만 회 이상
- 고객 생애 가치(LTV): 고객 1인당 평균 구매 주기 및 총 매출로 측정
- 이탈률: 비회원 대비 약 30% 낮은 수치
뷰티 브랜드(예: 클리닉, 헤어살롱, 스킨케어 샵 등)는 이러한 CRM 모델을 다음과 같이 적용할 수 있습니다:
- 💎 멤버십 프로그램 운영: 적립 혜택, 전용 서비스 도입
- 📆 재방문 유도 KPI 설정: “30일 내 재방문율 40% 이상” 같은 측정 가능한 목표 수립
- 📱 고객 피드백 기반 지표: 만족도 조사, 후기 작성율, NPS 점수 등 정성적 데이터 활용
CRM은 단순한 서비스 관리가 아니라, 브랜드 충성도와 반복 구매를 수치로 설계하는 전략입니다. 정기 시술, 재방문 고객, 고가 상품 구매 고객을 중심으로 한 KPI 관리가 뷰티 업계에서 반드시 필요한 이유입니다.
3. 소규모 뷰티 브랜드 KPI 설계법
대기업은 방대한 자원과 데이터를 통해 정교한 KPI를 운영하지만, 소규모 브랜드에게 더 중요한 건 핵심 목표에 집중된 간결하고 실용적인 KPI입니다.
신제품 런칭, SNS 캠페인, 오프라인 매장 운영 등 실무 상황에 맞춰, 다음과 같은 측정 가능한 KPI부터 설정해보세요.
KPI 항목 | 설명 | 예시 |
---|---|---|
📢 미디어 SOV | SNS·콘텐츠 플랫폼 내 브랜드 노출 점유율 | TikTok 2,360만 뷰 도달 |
🎯 인플루언서 리치 | 캠페인으로 도달한 타깃 인원 수 | Z세대 10만 명 도달 |
📦 제품 재고 가용성 | 온·오프라인 재고의 유통 및 소진률 | 80% 소진 시 긴급 리오더 발주 |
📈 SNS 성장률 | 팔로워 수 증가율 또는 반응률 | TikTok 3.0%, Instagram 0.6%, YouTube 1.9% |
“광고를 했으니 반응이 있겠지”가 아니라, “조회수 대비 전환율은 몇 %였는가?”처럼 측정 가능한 KPI로 사고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소규모 브랜드일수록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전략과 함께,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반복구매율·리뷰작성률·재방문율 등 실질적 KPI를 수치로 설정해 운영해야 성장이 가능합니다.
4. 2025년 뷰티 KPI 트렌드
2025년 뷰티 산업은 단순한 외모 중심 소비에서 벗어나, 지속가능성, 개인화, 웰니스 등 삶의 가치와 연결되는 브랜드 전략이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KPI 역시 변화하고 있습니다. 단순 매출 수치 외에도, 다음과 같은 트렌드 기반 KPI를 중심으로 진화 중입니다.
- 🌱 지속 가능성 KPI
- 친환경 포장 비율
- 재활용률, 탄소 배출량 변화율
- ESG 캠페인 도달률 및 소비자 반응 - 🧬 개인화 KPI
- 맞춤형 제품 비율
- AI 추천 기능 클릭/전환율
- 사용자 피부 진단 데이터 기반 구매율 - 💆 웰니스 융합 KPI
- 뷰티 디바이스(LED 마스크 등) 매출 추이
- 프로바이오틱스·내추럴 뷰티 제품 판매량
- 피로 회복/휴식 키워드 리뷰 반응률
이제 기획자는 단순히 '매출 증가'보다도 '브랜드의 가치와 소비자 공감'을 측정하는 관점이 필요합니다. 예: “환경을 위한 브랜드 행동에 소비자가 얼마나 공감했는가?” → KPI로 반영
따라서 브랜드의 정체성과 전략 방향에 맞춰, 이러한 트렌드형 KPI를 사전에 설정하고 캠페인 기획 단계에서부터 실행 KPI로 통합하는 것이 2025년 이후 실무의 핵심입니다.
5. 실전 KPI 설정법: SMART 원칙
좋은 KPI는 단순한 숫자의 나열이 아니라, 명확하고 실행 가능한 구조를 가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준이 바로 SMART 프레임워크입니다.
SMART는 다음 다섯 가지 속성을 의미합니다:
항목 | 설명 | 예시 |
---|---|---|
S Specific |
목표가 구체적인가? | "신제품 캠페인 클릭률 15% 이상 달성" |
M Measurable |
수치로 측정 가능한가? | "인스타그램 팔로워 월 300명 증가" |
A Achievable |
현실적으로 달성 가능한가? | "3개월 내 블로그 유입 20% 증가" |
R Relevant |
브랜드 전략과 연관성 있는가? | "친환경 포장 제품의 후기 작성률 추적" |
T Time-bound |
기한이 명확한가? | "2025년 6월까지 누적 구매율 30% 증가" |
KPI는 결국 성과를 수치로 설계하는 도구입니다.
SMART 프레임워크를 기준으로 설계하면, 성과 측정과 개선 방향 설정이 명확해지고 브랜드의 실행 전략이 더욱 견고해집니다.
6. 기획자를 위한 마무리 제안
이제 브랜드의 방향성과 실행이 일치하려면, KPI가 포함된 기획서가 기본입니다.
매출, 노출, 전환율만이 아니라 고객의 만족, 지속 가능성, 재방문율까지 수치화하는 시대입니다.
📌 지금부터는 기획할 때 반드시 KPI를 함께 설계하세요. 측정 가능한 전략이 곧 성과를 이끄는 전략입니다.
목표 없는 성장은 없습니다. 숫자가 방향을 만듭니다.
📌 자주 묻는 질문 (Q&A)
Q1. KPI는 꼭 수치로 설정해야 하나요?
A. 네. KPI는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이므로, 반드시 수치로 표현되어야 합니다. 예: “만족도 높이기” → “고객 설문 만족도 90점 이상”과 같이 구체화하세요.
Q2. 뷰티 브랜드에서 꼭 필요한 KPI는 무엇인가요?
A. 브랜드 성격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다음 항목이 기본입니다: - 이커머스 매출 - SNS 성장률 - 재방문율 - 제품 리뷰 작성률 - 캠페인 클릭 전환율
Q3. KPI는 언제 다시 수정하거나 조정하나요?
A. 다음 세 가지 타이밍에 KPI를 재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1) 브랜드 방향성 변경 시 2) KPI가 과도하거나 비현실적일 때 3) 충분히 달성되어 더 높은 목표가 필요할 때
Q4. 소규모 브랜드인데 KPI까지 꼭 설정해야 하나요?
A. 오히려 소규모 브랜드일수록 KPI가 더 중요합니다. 자원과 인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무엇에 집중해야 할지를 숫자로 정리하는 것이 전략적 효율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Q5. KPI 설정 시 가장 흔한 실수는 무엇인가요?
A. 가장 흔한 실수는 너무 추상적인 목표를 KPI로 삼는 것입니다. 예: "브랜드 인지도 높이기"는 측정이 불가능합니다. 반드시 “SNS 팔로워 수 월 10% 증가”처럼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수치로 전환해야 합니다.
Q6. KPI가 너무 많으면 문제가 될까요?
A. 네, KPI가 많을수록 관리가 어려워지고 핵심 우선순위가 흐려집니다. 소규모 브랜드일수록 3~5개의 핵심 KPI에 집중하는 것이 좋습니다. KPI는 많을수록 좋은 것이 아니라, 명확하고 집중된 것이 중요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 망하는 브랜드 vs. 뜨는 브랜드, 차이는 단 3가지였다!
"좋은 화장품만 만들면 브랜드가 성공할까요?" 🤔아쉽지만… NO!요즘 뷰티 시장에서는 브랜드 전략과 마케팅이 없으면 살아남기 어려워요.👉 같은 스킨케어라도 어떤 브랜드는 대박 나고, 어떤
beautyinsight.tistory.com
뷰티 산업 고객 관리, 왜 필수일까? 고객 충성도를 높이는 3가지 핵심 전략
🌟 이 글을 읽으면?✔️ 뷰티 업계에서 고객 관리의 중요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이는 실전 전략을 배울 수 있어요.✔️ 디지털 시대, 고객 경험을 혁신하는
beautyinsight.tistory.com
세포라에서 배우는 고객 참여 전략 5가지 – 소규모 뷰티 브랜드도 가능한 실천법
고객과의 관계가 브랜드 성장을 결정짓는 시대. 세포라의 대표 고객 참여 전략 5가지를 통해, 소규모 뷰티 브랜드도 실천 가능한 실행법을 제시합니다. 개인화, 리뷰, 커뮤니티, O2O, 피드백 전략
beautyinsight.tistory.com
- L'Oréal 2024 Annual Report – Financial Performance
- MMI Analytics – 6 KPIs for Beauty Product Launch
- Firework – 2025 Beauty Industry Trends
- HospitalityTech – Starbucks CRM & KPI 전략
- Profit.co – Why KPIs Matter in Strategic Planning
출처(SOURCE: Seo쌤뷰티인사이트)를 함께 남겨주시면 더욱 감사드립니다 🙏
📖 16 지혜 있는 자는 자기의 행실을 살피나, 미련한 자는 자만하며 나아가느니라 잠언 14
'기획자를 위한 뷰티연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뷰티 산업 리디자인 전략|고객 피드백으로 성공하는 브랜드 만들기 (10) | 2025.05.23 |
---|---|
《AI로 PPT를 기획하다》: 뷰티 교육자를 위한 생성형 도구 4종 완전 해부 (11) | 2025.05.22 |
뷰티 팀워크의 비결: 개인샵부터 브랜드샵까지 빛나는 5가지 리더십 전략 (7) | 2025.05.16 |
세포라에서 배우는 고객 참여 전략 5가지 – 소규모 뷰티 브랜드도 가능한 실천법 (1) | 2025.04.12 |
뷰티 브랜드가 이렇게 성공했다고? Lush, Glossier, Curology의 마케팅 전략 분석 (2) | 2025.03.03 |